이글루스 블로그, 수익형광고 좀 붙여보니...

이글루스, 수익형광고 좀 붙여보니...









4월 한달간, 이글루스 블로그 관련 수익형 광고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자신의 이글루스 블로그에 수익형 광고를 생각 하시는 분이라면 한번쯤
유용하게 참조 하시길 바라는 맘에서 결과보고서(?)를 올립니다.



1. 블로그 수익 광고의 용어


제가 맨 처음 블로그 수익 광고 라는 단어를 접하며 처음 접하게 되던 용어가
CPM. CPC, CPA, CPS 등의 용어 인것 같은데요. 정리를 해보자면

CPM : Cost Per Mile (1000번 노출당 수익)
CPC : Cost Per Click (1회 클릭당 수익)
CPA : Cost Per Action (회원 가입이나, 이벤트 참여 시 수익)
CPS : Cost Per Sale (물품 판매당 수익)

위와 같이 크게 4가지 방식의 블로그 수익 모델들이 있더군요.
굉고의 선택은 자신의 블로그에 오는 방문자들의 성향에 따라 틀려져야 되겠지요.
유입률이나 키워드 검색을 위해선 이글루스 제공의 통계나 구글의 통계 서비스를 이용하면
되는데, 개인적인 블로그에서 방문자들의 성향을 분석한다라는 건 쉬운 일이 아닌듯 합니다.



2. 이글루스에서 이용할 수 있는 블로그 수익광고 업체



애드젯 - CPM, CPC 광고를 진행 합니다.

- 프리미엄 위젯, CPM 단가가 100원 정도네요. 2개 달면 200원, 일반 스폰서 위젯은 CPM 이 30원 입니다.
블로그 최상단에 광고 개제를 해야 한다라는 핸디캡이 있습니다. 예전엔 CPM 이 300원 이었는데
가격이 많이 줄어 점점 매리트가 없어 지고 있는 광고 입니다.

- CPC 단가 20-50원 배너도 위젯을 통해 쉽게 설치 가능 합니다.

- 위젯 형식의 광고 설치는 애드젯의 장점입니다.

 

짱라이브 - CPM, CPC 광고를 진행 합니다.

- 동영상 광고 업체로써 평균 CPM 단가가 200원 정도 됩니다, 뷰당 3원, 1원 광고를 제공하는데
페이지뷰 1000 이면 유효 페이지뷰는 500 정도 되더군요, 그래서 평균 CPM 이 200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이 동영상 광고는 블로그 첫 페이지에 노출이 되어야 하며,
동영상이라 블로그 포스팅에 대한 시선이 무척 분산되는, 대신 광고 집중력인 높은 광고 입니다.
동영상임에도 불구 하고 로딩시간이 길게 걸리지 않는점은 장점입니다.
 
- 동영상 광고를 클릭해서 수익을 얻는 CPC 광고도 제공 합니다.



애드센스
- CPC 광고

- 구글에서 진행하는 광고 시스템인 애드센스는 CPC 광고 중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데요.
광고에 따라 틀리지만, 클릭당 단가가 높고, 다양한 광고들이 많아 광고 매칭이 용이 하다라는 점이
최대 장점 입니다. 투명하지 않은 부정클릭 방지 시스템은 많은 이들의 원성을 사고 있지만요..
다양한 종류의 베너와, 텍스트 링크 또한 제공 됩니다. 애드센스의 클릭단가도 꽤 줄어 들었지만,
아마 현 시점에서 가장 큰 수익을 내는 광고가 아닐까 생각 됩니다.



리엘센스 - CPC 광고

- 애드센스에 대항하기 위해 만든 국내토종 CPC 서비스 입니다.
CPC 단가는 70-110원 사이정도 되구요. 깔끔한 광고 인테페이스를 제공 합니다.
단점으로 광고 페이지 로딩 속도가 느리고, 광고의 수가 많지 않아 원하는 매칭 광고 찾기가
힘들다라는 점이죠. 애드센스 계정 비활성화 된 유저들이 대안으로 찾던 광고 입니다.
이미지 배너는 고정으로 지원되고 있고 택스트 배너는 크기 조절이 가능 합니다.
(단 색상 조절은 불가능 합니다.)

* 그외 이글루스에서 쉽게 적용 할 수 있는 CPC 서비스 올블릿이 있지만, 
  여기 저기 들리는 수익률은 별로 좋지 않은것 같더군요.



링크프라이스 - CPC, CPA, CPS 광고

- 링크 프라이스의 주 광고 컨셉은 CPS 광고라고 보는게 맞을 것 같은데요.
자신이 원하는 광고주를 선택해 블로그에 배너나 링크를 설치하고 판매 수익의 일정정도를
커미션으로 받는 형태 인데요, 다양한 광고주들을 가지고 있다라는 것이 링크 프라이스의
가장 큰 장점 입니다. CPC, CPA, CPS 중 어떤 식의 광고를 할지는 블로그 성향에 따라
틀리겠지만요. CPA, CPS 의 경우 이글루스 유저의 성향상 별로 도움이 안되는 광고 방식이라는
개인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 기타 아이라이크 클릭, 알라딘 TTB, 기타 수익제휴 업체들이 있습니다.



3. 블로그 광고에 대한 한달간의 실험 1



일단 기본적으로 블로그 광고를 통해 수익을 얻기 위해선
어느 정도의 트래픽이 필요 한거 같습니다.

제가 생각 하는 가장 기본적인 트래픽은 일일 방문자 1000명 이라고 생각됩니다.
천명이란 단위는 CPM 단위 이기도 하고 CTR (Click-Through Rate) - 클릭율 - 계산시도
유용한 단위 입니다.

하루 천명 단위의 트래픽이 있다라는 것과 CTR 비율이 0.1% (1000 페이지뷰당 1클릭) 계산하에
한달 블로그 수익광고 수입을 계산해 보면

- 애드젯 프리미엄 스폰서 위젯 2개, CPM 6000원 (200원*30일)
- 애드젯 스폰서 위젯 5개, CPM 4500원 (150원*30일)
- 짱라이브 동영상 CPM 6000원 (200원*30일)
- 애드센스 CPC (정확한 측정불가)
- 리얼센스 CPC 3000원 (100원*30일)
- 링크프라이스 CPA, CPS (정확한 측정불가)


각 광고 방식별로 이정도가 평균치라고 보시면 될 듯 합니다.
구글의 애드센스나, 링크 프라이스 같은경우 워낙 편차가 심한 항목이니
따로 금액을 언급하기 애매한 부분들이 있군요.



4. 블로그 광고에 대한 한달간의 실험 2



4월달 블로그 광고 처음 시작시 일단 가장 수익률이 좋았던 애드젯 배너 2개와
애드센스 광고로 매인 화면을 정리 했습니다. 로딩 속도도 나쁘지 않고
메인 상단 640*250 지점에 광고를 집중시켜 스크롤만 내리면 바로 포스트에 집중할 수
있도록 레이아웃을 만들었었죠. 나름 페이지뷰 1000명당 애드젯 CPM 600원,
애드센스 CTR 0.1% 정도가 나오더군요, 대략 한달에 3-4만원 정도 수익이 생길줄 
알았습니다. 허나 애드센스가 15일만에 부정 클릭으로 계정 비활성이 되고, 
애드젯 CPM 단가가 300원에서 100원으로 줄어 들면서 생각지도 않았던 다른 광고들을
알아 보게 되었습니다.

일단 CPM 단가가 낮아 졌어도 메인광고를 애드젯 으로 두고
상단 오른쪽 애드센스를 대체할 만한 광고를 찾기 시작 했는데,

그 첫번쨰 대안이 리얼센스 입니다. 페이지는 깔끔하게 나오는데
광고의 수가 적어 클릭률이 떨어 지더군요. 게다가 로딩 속도가 
느려서 제대로 광고 노출이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다른 대안으로 갔는데,

그 두번쨰 대안이 CPA, CPS, CPC 를 지원하는 링크 프라이스 입니다.
링크 프라이스의 주 광고수익은 CPS 라고 볼 수 있는데, CPS 는 타켓팅이
잘 되어야 합니다. 여러 항목의 배너를 달아 보았지만, 제 블로그에서는
그런 배너들이 많은 페이지뷰에도 불구하고 구매로 이어지지는 않았습니다.
CTR이 평균 0.4% 정도 되었던것 같네요. 실은 저 같아도 제 블로그에서
굳이 상품 구매를 할 것 같진 않습니다. 링크 프라이스는 정확한 타켓팅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선택 한것이, 아마존 클라우드 입니다.
속도부분에선 불만스러운 점이 있지만, 일단 제 블로그 주제와 잘 맞고
디자인이 예쁘다라는 점이 최종 낙점의 이유입니다.
가끔 킨들의 베스트셀러를 확인 하거나, 아마존 Mp3 인기순위등을
볼 때 유용하게 쓰입니다. 현재 이 광고의 CTR 은 0.4% 이지만 판매 수익은 없습니다.
저 또한 판매수익 보다는 아마존 트랜드 파악용으로 놔둔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마땅한 광고가 없다면 추후 이 자리는 개별 광고나 좋은 어플 소개란으로 변경 할 예정 입니다.

그외 사이드바에 짱라이브 CPM 과 애드젯 CPM 작은 배너 5개를 붙여 놓았는데.
짱라이브는 상황 봐서 종료할 예정 입니다. 너무 포스팅 집중력을 떨어 뜨리고 있더군요.
애드젯 작은 배너 5개는 하단 구석에 최대한 안보이게 붙여 CPM 단가를 노리고 있답니다.



5. 마치면서.



이글루스 블로그에 수익광고를 달고자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물론 수익 창출 이겠지요.
하지만 광고는 양면의 칼 같아서, 일정 정도의 수익을 얻기 위해선 자신의 포스트 집중도가
어느 정도 떨어 진다라는 점을 감수 하셔야 합니다.

여기서 고민 되는 부분이

1. 메인으로 쓸 광고는 무엇을 선택 할 것인가?
2. 블로그 디자인과 광고 디지안의 컨셉이 어울리는가?
3. 광고를 붙였을때 블로그의 속도가 현저하게 줄어 드는가?

세가지 였던거 같습니다.

현재 이글루스에서 쓸 수 있는 수익형 광고로는
논란이 많긴 하지만 광고의 위치나 수익면에서 애드센스가 가장 좋은듯 합니다.

또한 블로그 방문자들에게, 불필요한 광고 클릭을 하지 않게 하시려면
애드젯 CPM 광고가 유용할 듯 합니다. 하지만 이 광고는 최상단에 설치해야 되는
제한 사항이 있습니다. 일일 방문자가 많지 않다면 특정 위치에 노출 되어야 하는
CPM 광고는 비추입니다.

정확한 타켓팅이 있는 광고의 경우 링크 프라이스의
머천드들을 검색 하시는것이 좋을듯 하지만, 정확한 타켓 분석 없이 광고 클릭이 물품구매나
회원가입등의 이벤트 까지 이어지기가 쉽지 않습니다.

짧게나마 이글루스 적용 수익형 광고들을 이렇게 정리해 봤지만,
결론적으론 쓸만한 수익형 광고는 애드센스 빼곤 없는것 같습니다.
좀 더 다양한 종류의 수익 모델들이 나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덧글

  • 2011/05/12 20:25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jiwon 2011/05/12 23:57 #

    ㅋ 제 의견은 초록불님 애드센스 포스팅에 남겨 두었습니다 ^^
  • OuraMask 2011/05/12 23:36 #

    왜 이글루스에 붙어있는 수익광고는 크롬 adblock으로 차단이 안되는지 궁금하네요. 신기하기도 하고.
  • jiwon 2011/05/12 23:58 #

    크롬에선 이글루스 위젯 차단이 안되나 보군요 ㅠ.ㅠ
  • 광고왕 2011/06/23 12:41 #

    어떻게 광고 올리셨나요?
  • jiwon 2011/06/23 16:34 #

    이글루스의 광고는 위젯을 통해 올리구요,
    광고왕이 되시려면 이글루스 보단 티스토리가 더 유리할 듯 한데요?
  • 광고왕 2011/06/23 16:44 #

    티스토리 초대 어떻게 받나요?
  • jiwon 2011/06/23 16:47 #

    ㅋ 티스토리 메인 가시면, 초대 신청 메뉴 있으니 거기서 찾아 보시면 될 것 같네요.
  • 매일행복하다 2011/11/27 17:17 #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 jiwon 2011/11/27 22:46 #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JKingdom 2012/01/10 14:26 #

    저거 위젯 최상단에 다는거 어떡게 하나요?
  • jiwon 2012/01/11 20:29 #

    위젯을 만들때 넣고자 하는 두 위젯의 소스를 같이 넣어 작성 하시면 됩니다. 배치는 에디터 화면에서 상단 배치 하시구요.
  • 루토 2015/06/22 11:51 #

    캄사...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통계 위젯 (화이트)

14
15
950205

트윗팔로우

TwitterCounter for @ipaddog

google_anal